2편 초기경전 ⑤ 진리의 여울
2.5.1.잠 못 드는 사람에게
원망으로써 원망을 갚으면
끝내 원망은 쉬어지지 않는다.
오직 참음으로써만 원망은 사라지나니
이 법은 영원히 변치 않으리.
마음에 모진 생각 버리지 못하고
욕심을 따라 치달리면서
스스로 자기를 다스리지 못하면
그에게는 법의(法衣)가 알맞지 않다.
진실을 거짓으로 생각하고
거짓을 진실로 생각하면
이것은 끝내 그릇된 소견
그에게는 부질없는 망상만 따른다.
그러나 진실을 진실인 줄 알고
거짓을 보고 거짓인 줄 알면
이것은 떳떳하고 올바른 이해
그는 반드시 진리에 도달하리.
지붕을 성글게 이어 놓으면
비가 내릴 때 빗물이 새듯이
마음을 조심해 간직하지 않으면
탐욕은 곧 이것을 뚫고 만다.
경전을 아무리 많이 외워도
실행하지 못하는 게으른 사람은
남의 소를 세는 목동과 같아
사문의 보람을 얻기 어렵다.
마음은 고요히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하여 그침이 없다.
이것을 어진 이는 바로 깨달아
악을 돌이켜 복을 만든다.
아아, 이 몸은 오래지 않아
다시 흙으로 돌아가리라.
정신이 한번 몸을 떠나면
해골만이 땅 위에 버려지리라.
원수가 하는 일이 어떻다 해도
적들이 하는 일이 어떻다 해도
거짓으로 향하는 나의 마음이
내게 짓는 해독보다는 못한 것이다.
부모 형제가 어떻다 해도
친척들이 하는 일이 어떻다 해도
정직으로 향하는 나의 마음이
내게 짓는 행복보다는 못한 것이다.
아름다운 꽃을 따서 모으기에만
정신이 팔려 있는 그 사람을
죽음은 삽시간에 잡아가리라.
홍수가 잠든 마을 휩쓸어가듯.
보기에는 예쁘고 사랑스런 꽃이
빛깔만 곱고 향기가 없듯
아무리 훌륭하고 아름다운 말도
행하지 않으면 그 보람 없네.
여러 가지 고운 꽃을 한데 모아서
보기 좋은 꽃다발을 만들어내듯
사람도 착한 일을 모아 쌓으면
다음 세상 좋은 과보 복을 받는다.
계율을 빈틈없이 갖추어 이루고
행실이 방일하지 않은 곳에서
바르게 알고 해탈한 사람에게
악마는 그 틈을 타지 못한다.
잠 못 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나그네에게 길이 멀 듯이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에겐
생사의 밤길은 싫고 멀어라.
나보다 나을 것 없고
내게 알맞는 길동무 없거든
차라리 혼자서 갈지언정
어리석은 사람과 길동무 되지 마라.
내 아들이다 내 재산이다 하여
어리석은 사람은 괴로워 허덕인다.
나의 ‘나’가 이미 없거니
누구의 아들이며 누구의 재산인가.
어리석은 사람이 어리석다고
스스로 생각하면 벌써 어진 것이다.
어리석은 사람이 어질다 생각하면
그야말로 어리석은 바보일 뿐.
어리석은 사람은 한평생 다하도록
어진 사람을 가까이 섬기어도
참다운 진리를 알지 못한다.
숟가락이 국맛을 모르듯이.
지혜로운 사람은 잠깐만이라도
어진 사람을 가까이 섬기면
곧 참된 진리를 바로 안다.
마치 혀가 국맛을 알듯이.
『法句經』
2.5.2.무엇을 웃고 무엇을 기뻐하리
그릇된 죄가 채 익기 전에는
어리석은 사람에게 꿀맛과 같다.
그러나 그 죄가 무르익으면
그는 비로소 괴로움에 신음한다.
금시 짜낸 소젖은 상하지 않듯
재에 덮인 불씨는 그대로 있듯
지은 업이 당장에는 아니 보이나
그늘에 숨어서 그를 따른다.
활 만드는 사람은 화살을 다루고
물 대는 사람은 물을 끌어들이며
목수는 언제나 나무를 깎고 다듬나니
이처럼 지혜로운 이는 자기를 다룬다.
아무리 비바람이 때린다 할지라도
반석은 흔들리지 않는 것처럼
어진 사람은 뜻이 굳세어
비방과 칭찬에도 움직이지 않는다.
깊은 못은 맑고 고요해
물결에 흐르지 않는 것처럼
지혜로운 사람은 진리를 듣고
그 마음 즐겁고 편안하여라.
전쟁에서 수천의 적과
단신으로 싸워 이기기보다
하나의 자기를 이기는 사람
그는 참으로 으뜸가는 용사다.
한 달에 천 번씩 제사를 지내
목숨이 다하도록 쉬지 않을지라도
오로지 한마음으로 진리를 생각하는
잠깐 동안의 그 공덕에 이르지 못한다.
비록 사람이 백 년을 산다 해도
간교한 지식이 어지러이 날뛰면
지혜를 갖추고 조용히 생각하며
하루를 사는 것만 같지 못하다.
악의 열매가 익기 전에는
악한 사람도 복을 만난다.
악의 열매가 익은 뒤에는
악한 사람은 죄를 받는다.
선의 열매가 익기 전에는
착한 사람도 화를 만난다.
선의 열매가 익은 뒤에는
착한 사람은 복을 받는다.
허공도 아니요 바다도 아니다.
깊은 산 바위틈에 숨어들어도
일찍 내가 지은 악업의 재앙은
이 세상 어디서도 피할 곳 없네.
모든 생명은 채찍을 두려워하고
모든 생명은 죽음을 무서워한다.
자기 생명에 이 일을 견주어
남을 때리거나 죽이지 마라.
남 듣기 싫은 성낼 말 하지 마라.
남도 그렇게 네게 답할 것이다.
악이 가면 화는 돌아오나니
욕설이 가고 오고 주먹이 오고 가고.
소치는 사람이 채찍으로써
소를 몰아 목장으로 돌아가듯
늙음과 죽음도 또한 그러해
사람의 목숨을 쉼없이 몰고 가네.
무엇을 웃고 무엇을 기뻐하랴.
세상은 쉼없이 타고 있는데
그대들 어둠 속에 덮여 있구나.
어찌하여 등불을 찾지 않는가.
보라, 이 부서지기 쉬운 병투성이
이 몸을 의지해 편타하는가.
욕망도 많고 병들기 쉬워
거기엔 변치 않는 실체가 없네.
목숨이 다해 정신이 떠나면
가을철에 버려진 표주박처럼
살은 썩고 앙상한 백골만 뒹굴 것을
무엇을 사랑하고 즐길 것인가.
사람이 만일 바른 법을 모르면
그 늙음은 소의 늙음과 같다.
한갓 자라나 살만 더할 뿐
하나의 지혜도 더한 것 없나니.
깨끗한 행실을 닦지 못하고
젊어서 재산도 쌓지 못하면
고기 없는 빈 못을 부질없이 지키는
늙은 따오기처럼 쓸쓸히 죽는다.
깨끗한 행실도 닦지 못하고
젊어서 재산도 쌓지 못하면
못쓰는 화살처럼 쓰러져 누워
옛 일을 생각한들 어이 미치랴.
『法句經』
2.5.3.음욕보다 더한 불길은 없다
사람이 만일 자신을 사랑하거든
모름지기 삼가 자기를 지켜라.
지혜로운 사람은 하루 세 때 가운데
적어도 한 번쯤은 자기를 살피나니.
원래 자기가 지은 업이라
뒤에 가서 언젠가는 스스로 받는다.
자기가 지은 죄는 자기를 부수나니
금강석이 보석을 부수는 것처럼.
악한 일은 나를 괴롭게 한다.
그러나 그것은 행하기 쉽다.
착한 일은 나를 편안케 한다.
그러나 그것은 행하기 어렵다.
물거품 같다고 세상을 보라.
아지랑이 같다고 세상을 보라.
이렇게 세상을 관찰하는 사람은
염라왕을 만나지 않는다.
사람이 먼저는 잘못이 있더라도
뒤에는 삼가 다시 짓지 않으면
그는 능히 이 세상을 비추리.
달이 구름에서 나오듯이.
부디 나쁜 일 하지 말고
모든 선을 받들어 행해
스스로 그 뜻을 깨끗이 하는 것
이것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네.
승리는 원한을 가져오고
패한 사람은 괴로워 누워 있다.
이기고 지는 마음 모두 떠나서
다툼이 없으면 스스로 편안하리.
음욕보다 더한 불길이 없고
성냄보다 더한 독이 없으며
내 몸보다 더한 고통이 없고
고요보다 더한 즐거움이 없네.
병이 없는 것 가장 큰 은혜요
만족을 아는 것 가장 큰 재산이다.
친구의 제일은 믿음이요
즐거움의 제일은 열반이니라.
성인은 만나는 일 즐겁고
성인을 섬기는 일 또한 즐겁다.
어리석은 사람을 떠날 수 있어
착한 일 행해 혼자서 즐겁다.
도를 어기면 자기를 따르게 되고
도를 따르면 자기를 버리게 된다.
이 뜻을 모르고 마음대로 행하면
그는 애욕의 구렁에 떨어지리라.
사랑하는 사람을 가지지 마라.
미운 사람도 가지지 마라.
사랑하는 사람은 못 만나 괴롭고
미운 사람은 만나서 괴롭다.
그러므로 사랑을 일부러 만들지 마라.
사랑은 미움의 근본이 된다.
사랑도 미움도 없는 사람은
모든 구속과 걱정이 없다.
욕된 것을 참아 분심을 이기고
착함으로써 악을 이겨라.
남에게 베풀어 인색을 이기고
지극한 정성으로 거짓을 이겨라.
악은 사람의 마음에서 일어나
다시 사람의 몸을 망친다.
마치 녹이 쇠에서 나서
바로 그 쇠를 먹어 들어가듯이.
음욕보다 뜨거운 불길이 없고
성냄보다 빠른 바람이 없으며
무명(無明)보다 빽빽한 그물이 없다.
애정의 흐름은 물보다 빠르다.
진리를 가까이하면 히말라야의 눈처럼
멀리 있어도 그 이름 드러나고
진리를 멀리하면 밤에 쏜 화살처럼
가까이 있어도 나타나지 않는다.
『法句經』
0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