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00:00


 프랑스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문헌은 권력을 쥐고 있는 부르주아지의 억압 하에서 출현한 문헌이자, 이 권력에 대항하는 투쟁의 표현이었다. 그런데 이 문헌이 독일에 유입되어 들어온 시점은 독일의 부르주아지가 이제 막 자국의 봉건 절대주의와 대결하기 시작하던 무렵이었다. 
 독일의 철학자들, 얼치기 철학자들 및 문필 애호가들은 이 문헌들에 열렬히 매달렸지만, 이러한 문건들이 프랑스로부터 독일로 이주해 들어올 때 프랑스의 사회적 조건도 함께 이주해 들어온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말았다. 독일의 사회적 상황과 마주치면서 이들 프랑스판 문헌은 그것이 지닌 직접적 실천적 의미를 완전히 상실당한 채, 순수 문헌적 외양만을 띠고 말았다. 그것은 인간 본질의 실현에 관한 한가한 사변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이리하여 I8세기의 독일 철학자들에게는, 프랑스 대혁명이 제기했던 여러가지 요구들이 '실천적 이성' 일반이 제기하는 요구들인 양 간주되었고, 혁명적인 프랑스 부르주아지가 제출한 의지 표명 역시 그들의 눈에는 순수 의지 즉 마땅히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의지의 법칙인 것으로 다시 말해 진정한 인간 의지 일반의 법칙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독일 문필가들의 모든 저작들은 오로지 새로운 프랑스 사상을 자신들의 낡은 철학적 양심과 조화시키는 것,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자신들의 철학적 관점을 버리지 않은 채 프랑스 사상을 접목시키는 것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접목은 사람들이 하나의 외국어를 습득할 때 사용하는 방식 즉 번역에 의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수도승들이 고대 다신교 시대의 고전 사본에다가 카톨릭 성인들의 엉터리 전기를 덧씌웠던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독일 문필가들은 세속적인 프랑스 문헌을 가지고 바로 그와 정반대의 일을 하였다. 그들은 프랑스 원전에다 자신들의 터무니없는 철학적 헛소리를 써넣었다. 예를 들면 화폐의 경제적 기능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비판에다 "인간적 본질의 소외"라 썼고, 부르주아 국가에 대한 프랑스인들의 비판에는 "추상적 보편자의 폐위"라 써넣었던 것이다.
 이렇게 프랑스에서 이루어진 발전에다 자신들의 철학적 상투어를 끼워 넣는 것에 대해 그들은 "행동의 철학"이니 "진정한 사회주의"니, 또는 "독일의 사회주의 과학"이니 "사회주의의 철학적 논증"이니 하는 식으로 작위를 부여하였다.
 이리하여 프랑스의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문헌은 완전히 껍질만 남고 말았다. 이 문헌들이 독일인의 수중에 들어와 한 계급의 다른 계급에 대한 투쟁을 표현하지 않게 되었으므로, 독일인들은 자신들이 "프랑스인의 편파성"을 극복했노라고 확신하게 되었으며, 현실의 요구가 아닌 진리의 요구를, 프롤레타리아트의 이익이 아니라 <인간 본질>의 이익을 다시 말해 아무 계급에도 속하지 않고 실체도 없으며 철학적 환상의 안개 속에서만 존재하는 <인간 일반>의 이익을 대변했다고 믿게 되었다. 
 학창 시절에 쓴 습작들을 그렇게도 진지하고 거창한 것으로 생각했던 독일 사회주의는  보잘것없는 재고품을 대단한 물건인 양 약장수처럼 떠들어 대더니, 세월이 흐르자 점차 현학 속에 깃든 원래의 순진성마저 잃어나갔다. 
 봉건 영주들과 절대군주에 대항하는 독일인의 투쟁, 특히 프로이센 부르주아지의 투쟁은, 달리 말하여 자유주의운동은 더욱 격화되었다.
 이렇게 되자 '진정한' 사회주의는 이 (자유주의적) 정치적 운동에다 사회주의적 요구들을 대립시키면서, 자유주의와 대의제 정부, 부르주아적 경쟁과 부르주아적 출판의 자유, 그리고 부르주아적 법률과 부르주아적 자유 및 평등에 대해 전통적인 방식의 파문 선고를 내리면서, 이러한 부르주아 운동에서 얻을 것은 아무 것도 없고 잃을 것은 모든 것이라며 사람들에게 설교할 절호의 기회를 얻게 되었다. 독일 사회주의는 프랑스인들의 비판을 단조롭게 되풀이한 것이었지만, 프랑스인들의 비판이 현대 부르주아 사회와 그에 상응하는 물질적 생활 조건 및 정치 제도, 즉 독일에서는 이제 겨우 쟁취할 대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바로 그 모든 전제조건들을 이미 전제하고 있는 것인 양 착각하였다.
 성직자, 교사, 지주, 관료들을 거느린 독일의 절대주의 정부들에게는 독일 사회주의가 위협적 세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부르주아지에 대신 맞서 싸워주는 반가운 엄포자 노릇을 해준 셈이었다.
 독일 사회주의는 독일 절대주의 정부들이 때마침 노동자들의 봉기를 진압하느라 투입하였던 채찍과 총탄, 이 약의 쓰디쓴 뒷맛을 달래주기라도 하는 양 제공된 달콤한 사탕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진정한' 사회주의는 독일 부르주아지에 대항하는 투쟁의 무기로서 정부에 봉사하는 한편, 동시에 독일 속물들의 이익, 반동적인 이익을 직접 대변하였다. 독일에서 16세기의 유물이자, 그때부터 끊임없이 다양한 형태로 재현되어 왔던 소부르주아지가 현 상황의 실제적인 사회적 토대를 이루고 있다. 
 소부르주아 계급을 보존한다는 것은 독일의 현존 상태를 보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르주아지의 산업적, 정치적 지배는, 한편으로는 자본 집중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혁명적 프롤레타리아트의 등장에 의해 소부르주아지의 파멸을 예고한다. 소부르주아지에게 '진정한' 사회주의는 이 두 마리 새를 잡을 하나의 돌로 생각되었다. 그리하여 '진정한 사회주의는 전염병처럼 번졌다.
 사변의 거미줄로 엮고, 화려한 웅변의 꽃으로 수놓고,  연모(戀慕)의 이슬에 함빡 젖은 이 의상, 독일 사회주의자들이 '영원한 진리'라고 하는 말라빠진 그들의 육신을 감추기 위해 걸친 이 신비의 의상은 대중 속에서 독일 사회주의의 상품 판매량을 증대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편 독일 사회주의 측에서도 소부르주아 속물들을 위한 떠벌이 대변인으로서의 자기의 소명을 점점 더 자각하여 나갔다. 
 독일 사회주의는 독일 민족을 모범 민족으로, 독일의 속물들을 모범적 인간으로 선언하였다. 독일 사회주의는 이 모범적 인간이 보이는 비열하고 천박한 속성 하나 하나마다, 실제의 모습과는 정반대되는, 심오하고 고상한 사회주의적 해석을 부여하였다. 마침내 독일 사회주의자들은 공산주의의 "난폭하고 파괴적인" 경향을 거론하면서 이에 정면으로 반대한다라고, 이어 자신들은 일체의 계급투쟁에 대해 지고지순하고 불편부당한 경멸을 보낸다고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현재(1847년) 독일에서 돌아다니고 있는 이른바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출판물들은 극소수를 제외하면 모두 이런 불결하고 무기력한 문헌의 영역에 속한다.

다른 화

목록보기